노백린
1875 ~ 1926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공적개요 :
- 1904년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장, 육군연성학교장 등 역임
- 1920년 미국 캘리포니아에 비행사 양성소 설립
- 1923년 임시정부 국무총리·국무총장 역임
- 1962년 정부에서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관련장소 :
관련콘텐츠 :
노백린(盧伯麟,1875. 1. 10~1926. 1. 22) 선생은 황해도 송화(松禾)군 풍해면 성하리에서 1875년 1월 10일 시골 선비 노병균(盧秉均)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本貫)은 풍천(豊川)이라고도 불리는 서하(西河). 선생은 어릴 때부터 남달리 키가 크고 얼굴도 컸으며 마음이 침착하고 성격이 매우 호탕하였다. 부친은 장차 무인이 되기를 희망하고 병사를 잘 다스릴 수 있는 지장(智將)이 되기를 바랐다. 아들의 한문수학 뒷바라지를 아끼지 않았다. 21세 되던 해인 1895년에는 당시 내무대신인 박영효의 주창에 따라 이루어진 대한제국 정부 관비생으로 뽑혀 일본의 소위 메이지 유신 후 급격하게 발전하게 된 정치 사회 문화 전반을 배운다는 목적으로 일본에 파견되었다. 선생은 일본 도쿄에 있는 경응의숙(慶應義塾) 보통과와 특별과를 마치고 1898년 11월 성성학교(成城學校)를 졸업한 뒤 다시 일본 육군사관학교 11기생으로 입학하여 비로소 신식 군사학을 배우게 되었다. 어릴 때부터 무인되기를 원하였던 만큼 열심히 공부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게 되었다.
이완용 앞에서 워리, 워리 부르고, 일본군 사령관과 칼 빼 들고 대결 직전까지 가
1900년 10월 귀국하여 당시 원수부(元帥府) 회계국 총장인 민영환(閔泳煥)의 주선으로 어담(魚潭) 윤치성(尹致晟) 김형섭(金亨燮) 등과 함께 육군참위에 임관되고 한국무관학교 보병과 교관이 되어 군대양성에 진력하였다. 1904년에는 러일전쟁이 일어남에 관전단(觀戰團)이 되어 중국의 다이렌 뤼순(大連 旅順) 등지를 돌아보았으며 그 후 부위 정위 참령 부령 정령으로 승진했다. 선생은 육군무관학교장을 비롯하여 헌병대장, 육군 연성학교장을 역임하였다. 1905년 을사5조약을 체결하였을 무렵에 있었던 선생의 일화(逸話)를 소개하면, 조약을 맺은 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통감부를 서울에 설치하고 한국측 고관들을 초청하여 크게 연회를 베풀었는데 선생도 초청되어 참석하게 되었다. 이 자리에는 이완용(李完用) 송병준(宋秉畯) 등 역신들이 참석하고 있음을 알고 선생은 이들 앞으로 가서 위리 워리하고 개를 부르는 것 같이 불렀다. 그것은 나라를 팔아 먹은 개 같은 놈이라는 뜻이었는데 일본군 사령관 하세가와 요세미치(長谷川好道)가 그것을 알고 칼을 빼 들어 덤비려 하자 선생도 칼을 빼어 대결하려 하였다. 이 험악한 돌발적 사건을 본 이토 히로부미가 황급하게 하세가와를 만류하여 겨우 결투는 면했으나 연회장은 파연(破宴)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생은 무인으로서의 기백과 대쪽 같은 강직한 성품을 지녔다고 전하여진다. 그 후 1907년 8월 1일 한국군대 해산으로 육군연성학교는 폐교되고 선생은 군부 교육국장으로 전임되어 정령(正領)의 계급으로 군복을 벗게 되었다. 미국에서 귀국한 안창호(安昌浩)는 선생과 전덕기(全德基), 양기탁(梁起鐸), 이동녕(李東寧) 등과 함께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여 군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에 앞장섰다.
미국으로 망명, 국민군단 창설하고 독립군 양성
1910년 8월 29일 국권을 침탈한 일제는 회유와 협박으로 협력할 것을 수없이 강박(强迫)하였으나 선생은 의연하게 거절하면서 새로운 활로를 찾기에 몸부림쳤다. 하늘의 도우심인가? 1915년 7월 중국시찰이라는 명목으로 중국에 갈 수 있는 길이 열려 조명구(趙明九) 등과 함께 중국으로 가 상하이에서 배편으로 미국에 망명하게 되었던 것이다. 선생은 하와이 오아후 가할루지방에서 박용만과 함께 국민군단을 창설하여 별동대 주임이 되어 독립군 양성을 위해 힘썼다. 원래 미국 내에서는 외국인의 군사활동이 허락되지 않았으나 하와이 미군 사령관이 이를 묵인하여 주었던 것이다. 군제(軍制)는 미국식으로 하고 총은 목총으로 대용했으며 병영을 건축하였는데 공교롭게 국치일(國恥日)인 8월 29일에 낙성식을 갖게 되었다. 하와이 교포 축하객 600여 명은 감격의 도가니에 젖어 들었다.
최초의 항일 비행사 양성, 도쿄로 날아가 쑥대밭을 만들자는 졸업생들의 기개
191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태평양시보(太平洋時報)>를 창간하고 언론을 통하여 조국의 실상과 독립운동 고취를 선전하며 활동하다가 캘리포니아주에 이주, 정착하게 되었다. 선생은 무인의 선견지명으로 앞으로 전쟁은 육군보다도 공군력이 좌우할 것이라는 신념을 갖고 비행사를 양성해야 한다고 지방유지들에게 설득하였다. 이 열의에 감동한 국민회 중앙총회 총무직을 맡고 있는 곽임대(郭林大)가 매월 600달러씩 재정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받고, 1919년 1월 2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북방 윌로우스에 기지를 건설했으며, 1920년 2월 20일 비행사 양성소를 설립하였다. 한편 곽임대의 주선으로 캘리포니아주에서 쌀의 왕으로 통하는 김종린(金鍾麟)을 알게 되어 새로운 비행군단 창설 필요성을 역설하자 김종인은 양성소 건설에 필요한 각종 항공시설 일체를 도맡아준다는 것과 매월 3,000달러씩 경비를 지원한다고 약속했다. 비행군단 조직은 김종린(金鍾麟)을 총재로 추대하고 선생은 총무로 활동하였으며 곽임대는 훈련생 감독을 맡았다. 드디어 1920년 5월에는 연습용 비행기 2대와 비행사 노정민, 박낙선, 우병옥, 오임하, 이용선, 이초 등 6인을 초빙하여 교관단을 양성하여 역사적인 한인비행사학교를 개교하였다. 연습 비행기는 5대로 늘어났으며 1922년 6월에는 학생수가 41명에 달하고 1923년에는 11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게 되었다. 항공술을 배운 졸업생들은 의기가 충천하여 도쿄로 날아가 쑥대밭을 만들자고 호언하기도 했다. 우리 나라 사람에 의해서 국외에서 비행사를 양성한다는 것은 생각하지도 못한 일이었고 또한 독립전쟁을 위한 항일비행군단을 조직하게 된 것은 우리 나라 군역사상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한성과 상하이의 임시정부에서 군무부총장으로 선임
1919년은 우리 민족에게는 고무적이고 희망찬 해이다. 1918년 11월 11일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패전으로 약소민족과 피압박민족에게 민주공화제의 사조(思潮)가 전파되었다. 이와 같은 세계의 흐름 속에 우리 민족에게도 자유와 독립을 갈망하는 거센 물결이 일어났다. 1919년 2월 8일 도쿄 유학생 중심의 독립선언과 거족적이며 전국적으로 일어났던 3, 1독립만세 시위운동의 결과 온 국민은 우리 민족의 대표기관인 정부를 수립하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으로 뭉치게 되어 국내, 중국, 노령 등지에서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결실을 맺었다. 그 가운데 1919년 4월 23일 국내에서는 13도 대표가 서울에 모여 한성임시정부의 조직 각원들 명단을 발표했는데 선생은 군무부총장에 선임되었다. 대통령은 이승만, 국무총리는 이동휘, 외부부총장은 박용만, 내무부총장은 안창호였다. 상하이 임시정부에서도 선생은 군무부총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상하이임시정부가 문치파와 무력파로 양분되었을 때 선생은 무력파에 속하여 이동휘, 유동열, 신채호, 박용만 등과 함께 하였으며 무관학교 출신자를 주축으로 무력증진을 도모하였다.
임시 정부 국무총리와 참모총장으로 무력 진공 준비
1921년 6월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제2보합단(普合團)에 가입하여 군임장(軍任長)을 맡아 활동하였다. 1922년 7월에 이르러 상하이에서는 임시의정원의 해산문제, 국민대표회 주비회 양성문제, 한형권(韓馨權)의 레닌정부 보조금 임의 사용문제 등으로 시국이 극도로 분분하여져서 독립운동마저 중단해야 될 정도로 위기에 처하였다.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선생은 안창호, 여운형, 이시영, 조소앙, 윤기섭 등과 함께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를 조직하여 국정의 통일과 독립운동 방략의 통일을 위해서 활동하였다. 또한 이 해 임시정부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1924년 4월 9일까지 1년 10개월간에 걸쳐 국정을 통괄하며 임시정부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였다. 같은 해 5월 30일에는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다시금 군사 관계를 담당하게 되었다.
말 타고 군인 정복 입고 남대문에 입성하면 참 좋겠다던 쓸쓸한 망명 생활
선생은 말년에 육군 정령 제복을 즐겨 입었으며 정복을 어루만지며 늘 향수에 젖어서 한국 군인으로서의 긍지와 자신(自身)을 지켰던 것이다. 이 어찌 무인으로서 감회가 없을 수 있겠는가. 또한 정복에 말 타고 남대문에 입성해보면 참으로 좋겠다고 늘 입버릇처럼 이야기하며 실의와 좌절 속에서 낙망의 세월을 보냈다. 선생은 자전거 타기를 무척 좋아하여 매일 같이 상하이 시내를 두루 타고 다녔다. 선생은 언제나 가족들을 모아놓고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라고 일깨워 주었다. 선생은 2년 전부터 심장질환으로 자택에서 요양 중이었는데 이달 상순부터 병세가 악화되어 1926년 1월 22일 11시 45분 상하이 프랑스 조계의 한 양옥 단칸방에서 52세로 작고하였다. 평소 가족들에게 말하던 국가와 민족을 사랑하라는 말이 유언이 되어 버렸다. 평생 소원하던 광복을 못 본 채 뜻밖에 돌아가시게 된 선생에게 후학들은 깊은 애도를 드리며 나라 없음을 슬퍼하는 마음을 달랠 길 없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