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웹사이트는 국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해 대통령기록관에서 보존 ‧ 서비스하고 있는 대통령기록물입니다.
This Website is the Presidential Records maintained and serviced by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o ensure the people’s right to know.

대한민국의 여성, 목소리를 드높이다

독립운동부터, 산업화, 민주항쟁, 여성정책의 제도화까지 역사에서 배제되었던 여성을 주목하다, 근현대한국여성사

1910~1920

여성의 수난보다 애국을

여성독립운동은 1919년 3.1운동을 전후로 하여 활동이 본격화되었다.
3.1운동의 발화점이 된 2.8독립선언서를 조선에 갖고 들어 온
대한애국부인회의 김마리아 선생은 여성독립운동의 구심점이었으면,
최초 여성항일의병장 윤희순과 최초 여성 무장투쟁독립운동가 남자현,
아우내 만세운동의 유관순, 민중계몽운동 상록수의 주인공 최용신 등
다양한 분야의 여성독립운동가들이 나라를 위해 희생하였다.

  • 유관순 열사, 남자현 열사

  • 차경신 선생이 사용하던  타자기

유관순 열사, 남자현 열사 차경신 선생이 사용하던 타자기 @이애라, 유관순, 최용신, 박차정 여성독립운동가 비교분석
국립여성사전시관, 국가보훈처 제공

1930~1940

임정의 버팀목, 독립을 지원하다

임시정부는 윤봉길의 홍구공원 의거 이후
심해진 일제의 탄압을 피해 상해를 떠나 새로운 거처를 마련해야 했다.
이때 임시정부 여성들은 요인들의 식사나 빨래, 독립운동가 가족들의 안위를
보살피는 살림 위주의 일을 담당하였으나 후에 임정의 외교 및 군자금 모금 등의
일을 담당하였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정정화 선생과 같은 임정의 여성들은 한국혁명여성동맹,
애국부인회 등 독립운동단체의 실질적인 운영에 참여하여 독립운동사 전반에
영향을 끼쳤다.

  • 1921년 임시정부 기념사진

  • 연미당선생, 정정화선생

1921년 임시정부 기념사진 연미당선생, 정정화선생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여성들의 독립운동, 국가보훈처, 독립기념관 제공

1950

미군정기 여성운동과 한국정쟁

일제의 착취 속에서 소외 받던 한국 여성들에게 해방은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벗어날 결정적 계기로 인식됐다.
때문에 여성운동가들은 해방 이후 여성단체를 결성하여
공창제 폐지, 여성참정권과 교육 등 여성정책의 처리를 요구했다.
그러나 관련 정책이 빛을 보기도 전에 한국전쟁이 발발,
여성인권 및 여성해방운동이 전개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 1955년 노동절 기념식에 참여한 여성노동자들

  • 대한여자국민당 선언, 대한부인회 창간호

1955년 노동절 기념식에 참여한 여성노동자들 대한여자국민당 선언, 대한부인회 창간호 @한국현대여성사, 국립여성사전시관, e영상역사 제공

1960~1970

산업화, 개발국가와 여성

1960~70년대 산업화 과정에 중심역할을 한 것은
가난한 농가의 딸들과 여성노동자였다.
가부장적 가족구조의 희생과 헌신의 중심에 여성노동자, 기지촌 여성,그리고
외화획득과 생계비 마련을 위해 생이별을 감수했던 해외취업자와 그 아내들이
이 시대 여성의 자화상이었다.
이 시대 한국의 고도 경제성장에는 차별적 성별분업을 감내한
여성노동자의 고통과 희생이 존재했다.

70년대

닫기
  • 파독간호사의 편지

  • 창원공단의 여성노동자들

파독간호사의 편지 창원공단의 여성노동자들 @한국현대여성사, 국립여성사전시관, e영상역사 제공

1980

민주화와 여성, 사회참여의 확대

앞서 산업화 과정에서 이루어진 광범위한 여성노동자층의 형성과
군부 독재에 항거한 민주화 운동은 1980년대 전체 사회변혁 맥락에서
성차별을 해결하려는 여성운동의 성장기반이 되었다.
이는 사회적인 문제 뿐 아니라 가정폭력 등 오랫동안 은폐되어 온 사적 영역의
여성폭력과 억압이 표면적으로 드러나 공적 관심을 받게 된 시기이다.

  • 여성인권변호사 이태영선생의 편지

  • 여성권관련각종배지

여성인권변호사 이태영선생의 편지 여성권관련각종배지 @한국현대여성사, 국립여성사전시관 제공

1990~2000

여성운동의 성장과 제도화

1990년대에는 제도적 민주주의가 이루어지면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시민사회 공간이 도입되는 시기로,
여성운동도 대상을 다양화하고 방식을 전문화하기 위한 시도를 전개했다.
성폭력, 가정폭력과 일본군 위안부와 같은 여성의 수난을 공론화하였고,
다양한 계층의 여성이 혜택을 입을 수 있는 법 제도를 마련하였다.

여성지위 무엇이 달라졌나

닫기
  • 1987년 대한뉴스 제13대 대통령 직접 선거

1995년 일본군 위안부 국제 심포지엄 @한국현대여성사, 한국정책방송 KTV 제공